y=makesysArr(A)
ex)
'Mechatronics > 제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lab[시스템 전달함수] (0) | 2013.03.07 |
---|---|
대각정준형식 (0) | 2011.07.31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y=makesysArr(A)
ex)
Matlab[시스템 전달함수] (0) | 2013.03.07 |
---|---|
대각정준형식 (0) | 2011.07.31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구현내용만을 설명한다.
을 기본모델로 삼는다
mainsys(A,B,C)
A:시스템 행렬
B:입력행렬(b)
C:출력행렬(c)
makesysArr(y)
[S-A]행렬 생성
makeDeter(sysArr)
[S-A]행렬의 행렬식 구하기
cofactor([S-A])
[S-A]행렬의 여인수 행렬 구하기
ABMat(cofactorArr, B)
구하기
Matlab. makesysArr (0) | 2013.03.07 |
---|---|
대각정준형식 (0) | 2011.07.31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Matlab. makesysArr (0) | 2013.03.07 |
---|---|
Matlab[시스템 전달함수] (0) | 2013.03.07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Matlab[시스템 전달함수] (0) | 2013.03.07 |
---|---|
대각정준형식 (0) | 2011.07.31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제어계:각 방정식 및 상태변수선도 관계 (0) | 2011.07.30 |
대각정준형식 (0) | 2011.07.31 |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제어계:각 방정식 및 상태변수선도 관계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2) (0) | 2011.05.28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제어계:각 방정식 및 상태변수선도 관계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2) (0) | 2011.05.28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계(기본모델)에서 전달함수 만들기 (1) | 2011.05.28 |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2) (0) | 2011.05.28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계(기본모델)에서 전달함수 만들기 (1) | 2011.05.28 |
문제를 하나 더 풀었다.
이 역시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어떻게 풀었다.
유연한 사고가 된다면 문제 없지만, 나처럼 머리가 굳은사람은 너무 힘들고 문제를 풀어도 허무해지겠지.
그럼, 문제로 가자.
문제만 봐두 눈이 깜깜해진다.
이 역시 문제를 풀면서 어려가지 오류를 범했었지만 일단 푸는 방법만 설명하자.
일단 세가지를 생각하자.
1. 평형상태
.평형상태는 mg와 Mg까지 포함한 '계'가 균형을 이룬 상태이다. 따라서 식에서 Mg와 mg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기보다는 상쇄되어 생략되어 있다고 봐도 되겠따.
2. 모델의 상부--- y1(t)관련
3. 모델의 하부---y2(t)관련
2, 3번은 무슨소린가? 라는 말이 나올지도...
질량체를 중심으로 그림을 나눠보자
(1)
(2)
이제 이해가 갈것이다.
일단 그림(2)와 y2(t)만 생각해 보자
식(1)
y1(t)가 식에 들어와 있지만 문제는 없겠지... 바로 위의 물체인 M을 기준좌표로 생각할때 위 식이 성립할 것이다.
이제 (1)식을 생각할 차례다. 나는 위 시스템에서 RLC회로의 병렬상태를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었다. 분명 RLC회로에서도 병렬의 형상을 띄었지만, 그렇게 푸는 문제가 아니었다.
질량 M의 물체 M에 주어지는 힘을 생각해 보자.
일단 용수철 상수 K에 의한 복원력 K[y1(t)]
M에 매달려 있는 용수철 k와 댐퍼 c와 변수힘 f
1. cs[y1(t)-y2(t)]
2. k[y1(t)-y2(t)]
3. f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제어계:각 방정식 및 상태변수선도 관계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계(기본모델)에서 전달함수 만들기 (1) | 2011.05.28 |
2. εTotal = εD + εS
3.
4.
5.
이상의 식을 그림(2)를 참조하면서 알아보자.
1. 용수철과 댐퍼에 각각 '같은정도의 응력'이 작용한다.
2. 댐퍼와 용수철 각각의 변위의 합을 총 변위로 한다.
3. 총 변위 변화량 = 각 변위 변화량 합.
-3번의 식을 잘 이해하도록 하자. n은 댐퍼의 점성마찰계수이고 E는 용수철상수이다. 시그마는
응력이다.
결과적으로 5번의 식이 나온다.
위의 Maxwell material은 꽤 알려진 방정식같은데, 분명 문제와도 같은 모델일 터인데... 왠지 저 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일단 1.조건 자체가 어떻게 성립하는지 증명을 못하겠다.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조사가 필요한 듯 하다.
---------------------------------------------
미분방정식 책을 조사해 보았다.
스프링-댐퍼-질량 시스템
좌표y(t)에 따른 질량m의 물체 M의 가속도를 뉴턴의 제2법칙과 연관하여 생각하면
동반정준형 (0) | 2011.07.31 |
---|---|
미분방정식 학습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1)의 다른방법 (1) | 2011.07.30 |
제어계:각 방정식 및 상태변수선도 관계 (0) | 2011.07.30 |
기계제어. 스프링-댐퍼-질량모델의 전달함수 (2) (0) | 2011.05.28 |